林森의 招待詩 - 겨울 산

겨울 산

림삼 | 기사입력 2020/11/28 [09:19]

林森의 招待詩 - 겨울 산

겨울 산

림삼 | 입력 : 2020/11/28 [09:19]

  © 림삼

 

- 林森招待詩 -

 

겨울 산

 

가슴으로 입는 겨울

 

눈물 묻어날 듯한

애잔스럼과 슬픔 사이로

보고픔의 강 흐르고

멀리서 들리어나는

두견새 소리에

떠남의 여울

파도되어져 실려들면

 

시작되는 밤을 위하여

달은 또 다시 떠오르며

 

깊어진 시름마냥 등잔불

속절 몰라 깜빡이면

추워서

추워서

성큼 다가온 겨울

산 턱만 저리 키우나

 

- ()의 창() -

 

가뜩이나 코로나19의 매서운 기세가 다시금 대유행의 조짐을 보이며 우리에게 기습적으로 몰아닥치는 이즈음에 원치 않던 분란이 연일 매스컴을 달구고 있다.

어찌 보면 우리나라의 최고 권력 기관이나 지도자 중의 하나라고 볼 수도 있는 두 사람의 행보가 보통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사실 누가 승자가 되고, 어떤 사람이 권력에서 물러나게 될 지는 궁금하지 않다.

그저 먹고 살기에만도 너무나도 버거운 현실인데, 먼 나라의 이야기같은 실세들의 투쟁이 일반 서민들에게 무슨 관심사이며, 그렇게 진흙탕 싸움으로 이어가는 권력의 귀추가 궁금할 일이 무에 있겠느냐만 이젠 제발 얼른 그런 헛발질 좀 그만 두고, 진정으로 국민들의 삶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주길 염원할 뿐이다.

목하 매서운 바람을 몰고 한파가 시작되어지고 있는 이 때, 강추위도 모두 녹여버릴 그 대단한 기세를 좋은 데 쓰라는 말이다.

물론 그들이 지금 맹렬하게 맞붙은 투쟁의 장이라는 것이, 여야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승자와 패자를 나누고 네 편과 내 편을 규정하는 정쟁과 파당의 집대성이지만, 정치나 행정의 근본 이념은 어쩌면 모든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어주기 위한 평화사랑의 구현에 있지 않을까 하는 본질을 곱씹으며 묵묵히 초겨울 새벽의 산을 오르다가, 과연 모든 세상 이치를 극명하게 양쪽으로만 나누는 게 마땅한 고금의 진리일까를 곰곰 생각해 본다.

 

오늘날 사상 초유의 코로나 사태에 즈음하여 세계 도처에서 국제적으로 연일 계속되는 분쟁과 혼란,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심지어는 가정 안에서까지 자행되는 끊임없는 분열과 갈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서로 반목하면서 고통 가운데 시달리고 있는 것이 사실적인 삶의 모습이다.

이러한 때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평화일 것이다.

기독교의 샬롬이라는 표현을 빌리자면 화평이라는 말로 바꿀 수 있겠으며, 평안안정이라고 옮겨 말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이 화평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화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이 화해는 반드시 어느 한 쪽에서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하는 것인데, 대립하고 있는 양 쪽의 입장 중에서 누가 먼저 화해를 청해야 할까?

상식적으로는 상처를 입힌 사람이나 집단이 상처받은 쪽의 사람이나 집단에게 용서를 구하고 화해를 청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이 경우에 상처를 입었던 측에서 기다리지 않고 먼저 화해를 청하게 된다면, 복수나 원망의 행위 대신에 화평의 손을 내민다면 결과는 어떻게 될까?

그렇지 않아도 아프고 분할 판일텐데 어찌 그걸 참아내며, 대관절 어떤 마음가짐으로 그런 시도를 할 수가 있을까?

우선 승패를 떠나서 무엇보다도 상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의 마음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세 유럽 아씨시의 성자 프란체스코는 일찍이 우리 안에 이해의 샘이 마르지 않는 한 그 누구도 용서하지 못할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라고 말했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이해의 샘이 마르지 않은 사람은 자신에게 상처를 입힌 상대의 잘못들을 모두 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해의 샘이 마르지 않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살아가면서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든 결과를 보면, 잘못했던 경우가 완벽했던 경우보다 훨씬 많다는 걸 우선 기억하면 된다.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고 나도 모르는 새에 나의 자존심이나 명분만 앞세우다가 남을 무시하거나 배척할 가능성이 생각보다 많다는 말이다.

살면서 과연 실수 한 번 하지 않았다고 말할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역지사지라는 말이 있다.

상대방의 입장과 나의 입장을 바꾸어 생각하라는 말이다.

그렇게 매사에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게 되면 아무래도 섣부른 실수나 과오는 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을 진실로 인정할 때 비로소 우리는 이해의 샘이 마르지 않게 된다.

이해의 마음으로 이웃에게, 그리고 설령 우리에게 아픔과 상처를 준 사람들에게조차도 먼저 화해의 손을 내밀 수 있는 화평의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다음으로 이웃에 대한 희생의 마음이 있어야 한다.

내 위치나 조건이 어떻든 간에 이웃의 소중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희생이라는 것이 어떤 거대한 언행이나 족적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비단 다른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일에서라도 자신이 먼저 나서서 짐을 질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는 데에서 희생은 시작될 수 있다.

 

그렇게 작은 희생의 마음들이 쌓여서 큰 보람이나 창대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화평의 원동력이 되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품어야 할 마음은 희생을 감수할 수 있는 마음이어야 하며, 항상 내가 가장 낮은 자리에 내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으면 이 세상에 분란은 사라지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바라기에는 마음이 불편한 관계에 있는 수많은 이들에게 권면하고 싶다.

설령 내가 억울하게 당한 것이고, 미처 내가 받은 상처가 회복되지 않았다손 치더라도, 이해의 마음으로, 희생의 마음으로 먼저 화해의 손을 내미는 사람들이 된다면, 이 세상은 얼마나 희망찬 화합의 시절이 될 것이며 이 지구촌은 또 얼마나 훈훈하고 평화로워질 수 있을까?

무릇 변치 않는 대자연의 모습으로 겨울 산이 우리에게 제언한다.

지금의 분쟁이 끝나더라도, 그리고 또 다른 분쟁이 생겨나더라도, 그래서 모두가 각자의 누리에서 승리하거나 또는 패배한 이후에라도, 과연 우리가 어찌 살아야 할지를 알려주고 섰다.

서로 이해하고 희생하면서 평화스럽게들 살거라!”

 

  © 림삼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및 그의 배우자, 직계존·비속이나 형제자매에 관하여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거나, 이들을 비방하는 경우 「공직선거법」에 위반됩니다. 대한민국의 깨끗한 선거문화 실현에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
광고
광고